top of page

UGEN 박물관

PROJECT TYPES

YEAR

LOCATION

2013

Seoul, Korea

Education & Culture; Competition

사화적, 물리적 접촉이 단절된 폐쇄공간형 중 심이 놀이문화를 지양하고 도심독지공간 + 도심형 놀이를 결합하여 사화적 만남을 조장 하는 새로운 도심형 그린 놀이문화를 추구하 며 도심형 공원, 놀이터, 광장 등을 활용하여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의 경곌를 허물며 현 신 공간 내의 식재, 가로시설물과 가상 공간 의 새로운 미지의 공간을 결합할 수 있는 공 간을 목표로 한다.


기존 물리적 공간의 한계는 공간의 lineraity 의 특성으로 인하여접근성의 한계생길 수밖에 없는데 즉, 경혐을 하기 위해서는 직접그곳을 방문하여야 하며, 공간 안에 배치되는 프로그램은 병치(justaxposition)형 으로 배열될 수밖에 없다.


하나의 공간에 하나의 프로그램만이 존재하며 따라서, 도심지의 한정된공간적 자원과 경제논리에 의해 보다 효율적인 공간활용에 대한 수요가발생한다. 결과적으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공간에 여러 공간의 프로그램을 집약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특별한 공간적 장치와 IT program이 결합되어야 한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