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 K 레지던스
PROJECT TYPES
YEAR
LOCATION
2007
Seoul, Korea
Residence; Built
한정된 대지 안에서 최대한의 거주면적과 마당면적에 대한 요구를 동시에 만 족시키는 배치를 구하기란 만만한 일이 아니다. 특히, 대지가 자루모양의 이 형(異形)으로 건축할 수 없는 면적이 많을 때에는 더욱 그러하다. 남측 대지 의'6m위의 축대가 주는 압박감을 끌어안으면서도 채광을 도모하고, 물러서 서 집율 블 여유조차 없는 한정된 외부공간의 포위감율 완화하는 방법에 대 해 모색하여야만 했다.
해결의 단초는 내외부 공간을 포개어 놓고 그 경계를 완화하는 방법에서 찾아 나갔다. 수직적으로 또는 수평적으로 점유하는 주 거공간의 각 부분은 그 경계에서 완전히 구획됨이 없이 공간의 전이가 연속 적이고 또한 의도적으로 포개어져 공유된다. 외부공간이 내부로, 또는 반대 의 경우로 진행할 수 있도록 집의 외곽부는 곳곳에서 함입되어 있고 기울어 져 있다. 이 부분으로 자연과 외부공간이 내부로 진행될 수 있게끔 도와준다. ’마찬가지로 1자배치의 거실부는 뒷마당과 앞마당의 사이에 놓여 이러한 흐 름의 중심에 서게 된다. 중첩에서 의도된 바는 심리적 개방감과 시선인데 공 간에서 공간으로 연결되는 거주자의 시선은 집의 구석구석을 길게 나아갈 수 있도록 배려되었다.
이 집에는 많은 시선이 존재하고 이 또한서로 포개어져 있다. 이'시선들은 집의 표정을 풍요롭게 하고, 정주에 대한 기억과 삶의 발 견을 새롭게 하기 위함이다. 외관에서 블 때 길게 연속되어진 징크관면의 선 은 안방부분에서 집울 높게 감싸는데 이 부분은 설계초기부터 중요하게 다루 어진 매스로서 위치상 정원의 각기 다른 성격을 부여하고 밀식된 자작나무의 진입축율 굽어보며 전면도로에서 볼 때 남산율 배경으로 한 녹음과 중첩되어 일부가 마치 떠 있는 듯 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내부구성은 공 간의 확장과 소통율 위해 몇 개의 zone율 두었는데 그 중 하나는 계단율 중심 으로 한 수직이동공간이고 또 zone 은 짐의 중심부의 현관과 상충의 복 도를 포함한 공간이 다. 그 옆으로 식 당과 식 당 상부공간을 포함하는 zone까 지 하여 설계된 일련의 공간군은 점진적으로 연결되고 심리적인 개방감과 공 간적 움직임을 부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