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박물관 복합문화관
YEAR
LOCATION
MATERIAL
2017
Jeju, Korea
Limestone Panel, BIPV Glass, Exposed Concrete, Curtain Wall

















제주도의 전통 마을과 풍습을 살펴보면,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자유롭게 집을 짓는 것이 아닌 암반지대의 특성을 이용해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 집을 짓고 서로의 신뢰 와 소통을 바탕으로 대문이 없는 마을을 형성했다. 이러한 특성을 살려 국립제주박물관 복합문화관을 설계하고자 한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이란 자연의 아름 다움을 담을 수 있고 그 가치를 보존할 수 있는 건물이다. 새로운 복합문화관으로 인해 없어지는 자연은 옥상을 정원화 하여 손실이 아닌 자연 그대로를 보존하고자 한다. 옥상 정원에는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는 식물을 심고 사람들에게 제주도의 자연을 조금 더 쉽게 이해시켜주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국립제주박물관은 문화 박물 관이며 제주도의 자연 박물관이 될 것이다.
건물은 장소를 반영하는 상징적인 건축물일 뿐만 아니라 주변 건물과 조화를 이루고 지역 주민들에게 친근한 곳이어야 한 다. 새로 지어지는 복합문화관은 한라산에 영감을 얻어 기존의 박물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다. 주 출입 동선은 항상 열려 있으며 가파른 지형을 이용 하여 건축물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방문객의 흐름을 지붕까지 연결해주었다.
제주도의 삶은 사람과 자연의 조화를 통해 가장 잘 드러난다. 국립제주박 물관 복합문화관은 제주도의 과거의 마을을 형상화 했다. 마을은 나무들에 둘러싸여 있으며 하나의 마당을 중심으로 각각의 집을 하나로 묶어준다. 이러한 아이디어 를 바탕으로 각 개별적인 기능을 가진 매스들은 내부의 사이 공간인 서비스 공간으로 연결되며 옥상 정원의 지붕 시스템으로 하나의 마을로 구성해준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독립적인 기능을 가진 공간들은 하나의 공간 안에서 통합되어 있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마을은 공동체를 이루고 서로 공유하며 살아가는 공간이다. 따라서, 복합문화관은 주민, 방문객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공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