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잠실 2-동 주민센터

PROJECT TYPES

YEAR

LOCATION

2017

Seoul, Korea

Office; Interior; Built; Public

잠실2동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인테리어 리노베이션 설계는 근무자와 민원인 간 그리고 동 주민간 어떠한 긍정적인 인터랙션도 기대할 수 없었던 기존 공간의 구조를 변화시켜 주민간에 자연스런 만남과 소통이 일어나게 하고, 빠른 업무처리에만 집중되었던 관심을 분산시킴으로써 근무자와 민원인 사이의 긴장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주민센터는 민원행정 실이 1층에 위치해 접근성은 좋지만 민원인의 대기방식이 민원카운터와 대치하는 배치로 이루어져 상호간에 감시와 재촉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불편한 공간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주민자치 공간은 민원대기공간과 한 공간에 있어야 했지만 그 우선순위에서 밀려 제일 바깥쪽의 구석공간을 불편하게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그 밖에도 여느 주민센터와 마찬가지로 카운터 및 필경대의 정리되지 못한 풍경과 사무기기의 혼재는 전체적으로 편안한 마음을 갖을 수 없게 하였다. 따라서,  본 설계에서는 민원공간과 자치공간을 통합하고 버려진 구석공간을 중앙공간으로 끌어들임과 동시에 카운터와 민원공간 사이에 대치하는 시선방향의 어색함을 일거에 해결하기 위해 공간 전체에 사선의 흐름을 만들어 가구를 배치하고 그 흐름을 둘러싸도록 카운터를 배치하였다. 그 결과 자연스러우면서도 기능적인 동선의 흐름이 가능해 졌다. 또한, 중앙에 위치한 사선방향의 가구는 민원인 상호간 자연스러운 만남과 대화가 가능하도록 배치하였고 역시 사선으로 설치된 상부 천정 구조물로 인하여 이전보다 집중되고 인상적인 분위기가 가능해 졌다.


공간내 정리되지 못한 풍경의 주범인 필경대와 카운터를 정리하기 위해 사용기자재 및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이에 맞추어 각종 수납공간을 디자인하여 3D 프린터로 프린팅한 후 기존 가구에 결합하는 방식을 도입하였다. 그 결과 나름대로 어떠한 방법으로도 튈 수 밖에 없었던 일부 주민센터 특유의 풍경을 어느정도 단순하게 정리할 수 있었다.


This community service center is located in a large apartment complex. Almost 15,000 households live there, with as many as 57 classes being offered by the residents’ committee for the community members. Class registrations are made at the center, and so many visitors come here on the registration day that the staff members have difficulties dealing with public service operations. Therefore, their key requests included diversification of the demands and also bringing life back to unused corner spaces.


The aim of this project was to alleviate tension between the staffs and visitors by dispersing the attention focused solely on the work process.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old space, in which no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he staffs and the visitor or between residents could be expected, natural contact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residents is now anticipated. In this design, the public service area and the community space are integrated, and the abandoned corner space is drawn into the central space. At the same time, to save visitors and staffs from awkward gazes, a flow of oblique lines was created throughout the space, by which the furniture was arranged, and arranged the public service counters to surround this flow. In order to sort out the scatter of writing desk and public service desk, we surveyed the equipment and their usage patterns, and designed various storage spaces accordingly, printed them with 3D printers, and combined them with existing furniture.

bottom of page